2013 수능 외국어 영역 문제지 :
2012수능 외국어영역 듣기평가 대본.pdf
2012수능 외국어영역 짝수형 문제지.pdf
2012수능 외국어영역 홀수형 문제지.pdf
2013 수능 외국어 영역 정답 및 해설 :
2012수능 외국어영역 정답.pdf
2013_수능_외국어(영어)_홀수형_해설지.pdf
-> 2013년~1994년 20개년 수능영어 기출문제 및 정답 한글파일 : http://wanglish.tistory.com/709
2013 수능 외국어 영역 난이도 평가 :
이번 2013수능 외국어영역은 작년수능 외국어영역보다 다소 어렵게 출제되었다고 수능출제본부가 밝혔는데요~
작년 수능에서 외국어 영역은 만점자 비율이 2.67%이 나와 전 영역에서 가장 쉬웠다고 하네요.
이번 2013수능 외국어영역 난이도는 작년수능 외국어영역보다는 어렵게 출제하였으나
지문길이는 작년 수능과 비슷하며, 쉬운 문항, 중간 문항, 어려운 문항을 적절히 안배해 변별력을 갖추도록 했다고 합니다.
- 2013수능 외국어영역 듣기/말하기 : 일상생활, 학교생활, 사회생활, 문화생활 등과 관련된 소재를
활용해 대화나 담화 내용의 사실적, 추론적, 종합적 이해능력을 측정하고자 했다고 합니다.
- 2013수능 외국어영역 읽기/쓰기 : 읽기에서는 문학, 철학, 역사, 예술, 교육, 과학, 취미, 실용문 등의
소재를 활용해 지칭어가 가리키는 내용 추론하기, 어법에 맞는 표현찾기, 빈칸에 들어갈 표현 추론하기 등 문항을 출제!
- 외국어영역 쓰기에서는 주어진 글에 이어질 내용의 순서를 적절히 배열하기, 문단 단위 지문을 문장 단위로 요약하기, 글의 흐름에 맞게 주어진 문장이 들어갈 적절한 곳 찾기 등 문항을 출제했다고 합니다.
2013수능 외국어영역은 작년도수능 외국어영역과는 크게 달라진 점은 없지만 빈칸이 두개로 구성된 빈칸 추론 유형을 출제했고, 주어진 문장 들어갈 곳 찾기 유형에서는 필자의 주장 유형을 대체해 출제했다고 합니다.
이렇게 외국어 영역 난이도 및 출제경향에 대해 알아봤는데요. 이번 외국영역의 만점자 비율은 어떻게 나올지 참 궁금하네요~ 그럼 마지막까지 화이팅 입니다.
2014년 수능 외국어영역 변경사항 필수확인 : http://wanglish.tistory.com/647 
1. 부분별 전반적 분석
part |
level |
remark |
듣기 |
하
|
● 오답률 15% 이하의 난이도
● EBS 고교 영어 듣기 (7문항) 연계
● 수능 완성 실전 (10문항) 연계
● 쉬워도 너무~ 쉬웠던 듣기 |
어휘 |
중 상 |
● 수능 기출 어휘 수준 상향
● EBS 연계 어휘 수준은 해마다 증가
● 단순 기초 의미보단 다양한 의미
● 문맥 속에서 의미 유추 |
* 어법 |
중 상 |
● 수능,평가원 난이도 (고 2 중상 수준)
● #21:작년 수능 #21동일 point 물어봄
● 구조 파악의 절대적 영향력
● 실제 난이도에 비해 오답률이 높음 |
독해 |
* 유형 변화 |
* 제 위치 |
1-> 2 문항 (기존 유형의 개수의 변화는
큰 의미 없음) |
* 단락전개
패턴, 문맥 파악 |
● 기존 출제 3 패턴 유지, 구문 독해적 접근 !!
● 문장, 단락의 구조파악 필요
● 논리적 접근, 지문 내에서 근거, 내적추론 요구 |
* 지문(문장)
길이 및 구조 |
● 평가원 기존 출제 형태 유지 (긴 지문) |
** EBS 반영도 |
● 18 문항 |
* EBS 5권 학습여부의 영향력 절대적이지는 않음
* 오답률 가장 높은 상위 6 문항중
4 문제가 EBS 밖 지문!!! |
** 등급별 난이도 |
● 1등급후반이하 시간,지문파악 호흡에 부담을 줌 |
*정답선택 분별력 |
중 상 |
*외형적 매력적 오답 (평가원 선택지
수준의 높음을 이번 시험에서 보여줌)
* 아래 설명에서 구체적 설명 |
종합 난이도 |
상 하 |
* 1등급 컷: (예상) 92 점
( 6월 모의:~ 94점, 9월 모의:~92 ) |
2. EBS교재 연계 내용 및 상위 ( 2등급 컷 ) 오답률 상황
* 총 18문항: [ 수특 ] - 3, [ 독연1 ]- 5, [ 독연 2 ] - 3
[ N-제 ]- 3, [ 수완-유형 ]- 1, [ 수완-실전 ] - 3
문항 |
(수능) 문제 유형 |
EBS 교재 출처(유형) |
추정 난이도
(오답률 %) |
19 |
지칭 대상 |
수특 15강-7 (순서) |
5 % |
20 |
어 법(ABC) |
N제-#104 ( 흐름무관 ) |
63 % |
21 |
어 법(밑 줄) |
N제-#157 (제목) |
64 % |
23 |
빈칸 |
수특29강-2 (어휘) |
35 % |
28 |
빈칸 (어휘*2) |
완성 실전6회-45 (문단요약) |
33 % |
30 |
밑줄 어휘 |
완성 실전1회 -35 (주제) |
30 % |
31 |
어휘(A.B.C) |
독연 1, 19강 -#8 (빈칸) |
39 % |
32 |
도표 |
N제-#019 (도표) |
9 % |
34 |
내용 불일치 |
독연 2. 10강-2 (흐름무관) |
16 % |
35 |
요 지 |
수특 17강-1~3 ( 장문 ) |
26 % |
36 |
요 지 |
완성 유형 9강-2 (빈칸) |
33 % |
37 |
주 제 |
완성 실전 5회-31(연결사) |
23 % |
38 |
주 제 |
독연 1, 19강-#16(어휘) |
44 % |
39 |
제 목 |
독연 2. 10강-1(어법) |
41 % |
40 |
제 목 |
독연 1. 15강-고난도 (순서) |
36 % |
41 |
흐름 무관 |
독연 2. 5강-6 ( 빈칸 어휘 ) |
29 % |
42 |
순서 |
독연 1. 5강-고난도(빈칸) |
28 % |
43 |
제 위치 |
독연 1. 15강-1 (순서) |
41 % |
* 표 오답률 추정치는 M 사이트 자료 참조
( 사이트 마다 오답률 및 순위에 약간의 차이는 있음)
* 수능 상위 난이도 문제 분포 (~ 2등급 컷)
문항 |
유형 |
EBS 연계 |
오답률 순위 |
26 |
빈칸 (3점) |
X |
68 % |
21 |
어법 |
O |
64 % |
20 |
어법 |
O |
63 % |
27 |
빈칸 (3점) |
X |
59 % |
47 |
장문 빈칸 |
X |
53 % |
25 |
빈칸 |
X |
53 % |
45 |
문단 요약 |
X |
45 % |
* (홀수형 기준) 오답분포의 특징 ( 3개 오답이 비슷한 비율로 선택됨: 지난 9월과 대조)
문항 # |
정답(선택율) |
오답 |
26 |
② : 32 % |
⑤ : 21% |
④ : 20% |
③ : 18% |
21 |
③ : 36% |
④ : 30% |
② : 22% |
|
20 |
② : 37% |
④: 28% = ⑤ : 28% |
27 |
③ : 41% |
① :19% |
② : 18% |
47 |
④ : 47% |
① : 16% |
③ : 15 % |
② : 14 % |
25 |
④ : 47% |
② : 17% |
③ : 14 % |
3. 구체적 분석
1) 13학년도 수능 영어 특징 ( 위 분포 표 참조 )
☞ 만점자 비율을 결정짓는 오답률 1위 문제
|
6월 (0.8 %) |
9월 (0.27%) |
수능 (~0.6 %) |
오답률 |
66% (#28. 빈칸. 3점) |
80% (#28. 빈칸 3점) |
68% (#26. 빈칸 3점) |
☞ 1, 2등급 컷을 결정짓는 상위 ~6개 문제의 오답률 분포가 가 지난 6월 평가원
모의와 유사.
☞ 상위 6개 문제 중 어법을 제외한 나머지 (대부분 빈칸)가 EBS 밖 지문 출제
☞ 오답률 높은 25(2점),26(3점),27번(3점) 문제가 연속적으로 등장하여
학생들로 하여금 문제를 풀어나가는데 있어 압박감과 불안감 초래
이로 인해 나머지 EBS 반영 지문의 문제까지 정답 도출에 영향을 줄 가능성
-> 예상외로 평소보다 점수가 5~6점 이상 하락한 경우에 해당
☞ 유형: 쉬운 주장유형의 문제대신 제자리 찾기 유형을 2문항 출제
☞ 지문 단락 전개 구조 : 수능평가원 출제 코드에 충실한 3 patterns
(원인결과, 비교대조, 정의예시)
난이도 높은 어려운 문제일수록 전개구조 접근법에 의해 정답을 명쾌하게 선택가능 ->구조 독해의 학습방향 재차 강조
☞ 소재, 주제문 파악의 중요성을 확실하게 일깨워줌
( 매력적 오답이 외형적으로 볼 때, 오답의 분포를 참조하면 분명 있을 것처럼
학생들은 생각하지만, 실제 주제 소재, 전개구조만 정확히 파악하면 매력적
오답은 없음.)
☞ 전반적 구문독해 학습의 (절대적) 필요성을 계속 보여줌.- 신속 정확한 정답선택
☞ 지문의 길이(문장구조) : 3년째 계속 긴 상태로 유지-EBS교재 중 특히 고득점 N제의
지문 학습을 통해 이젠 적응이 되었을 상태이지만, 막연히
해석과 오로지 답만 찾으려는 접근법으로는 독해 속도 및
의미파악에 있어 수월치는 않음
☞ 어휘의 난이도는 EBS연계 상황 하 에선 계속 증가할 것임 (EBS 지문에서 8개월간
한번이라도 봤고 공부했을 것이라 가정하고 출제자들이 맘 놓고 출제 )
(EBS교재 지문 속에 등장하는 어휘들 참 좋은 것들 많죠. 해마다 신선하게
등장함- 이미 쉽게 알고 있는 단어들의 다른 뜻.. 어휘 학습 방향 제시 )
☞ 어휘학습법: EBS (2012년 기준) 지문 수록 어휘 : ~2,000 개
이 외 수능, 평가원 기출 및 필수 어휘: ~2,000개
*total: ~4,000 개 어휘 (고1~고3) 꾸준히 무한 반복
쓸데없이 TEPS의 어려운(?), 쓸모없는 어휘외우지 말고, 어원별 암기도 무의미..
쉬운 단어의 다양한 뜻, 사전적 의미를 넘어서 문맥 속에서 다양한 의미
파악하면서 어휘의 무한 반복 생활화. ( 많이도 필요없이 일주일에 100개 정도)
수능 보기 전 10월까지 반복 반복.. 지겨우면 수능 게임에서 진다는 생각으로..
다른 일정과 수업량으로 인해 잠시 영어를 혹 놓는다고 해도 어휘만은
꼭 붙들고 ( 항시 휴대폰 손에 잡고 챙기듯이 어휘 그렇게 하면 참 좋을텐데.. )
* 등장 어휘 list ( 지면관계상 목록만 표시 )- 어떤 단어들이 나왔는지 구경하세요.
<! - -StartFragment - ->
fan |
mindless |
migrate |
due to |
access |
trail |
take * for granted |
barbarous |
hybrid |
exceptionally |
potent |
distinctive |
intervention |
plot |
infinite |
emerge |
curb |
restraint |
constitute |
deliberate |
discipline |
appreciation |
suppression |
contain |
soothe |
natal |
dispersal |
asymmetry |
emit |
kin |
hypothesis |
end up doing |
elaborate |
liken |
entail |
obscure |
adjust |
apparent |
analogy |
superficial |
ancestor |
sophisticated |
revolution |
evolution |
toolkit |
mutation |
vice versa |
retain |
digestion |
descent |
linguistic |
resource |
greed |
deterioration |
observe |
gravity |
contribute to |
exert |
accuracy |
empathetic |
distress |
be bound to |
anxiety |
zealous |
stale |
cognitive |
complementary |
intrude on |
static |
undermine |
chronical |
make amends |
sabotage |
merchant |
rob A of B |
successive |
be inclined to |
occasional |
accounts |
commercial |
pioneer |
serve to do |
hemisphere |
outlet |
submerge |
evaporation |
be prone to |
remnant |
exceed |
dissolve |
trace |
concentrate |
commitment |
aura |
undeserve |
convey |
authority |
endurance |
contract |
bias |
trial |
lessen |
valid |
identify |
strategy |
gene |
have to do with |
proof |
jot down |
emission |
notorious |
consequence |
rescue |
offend |
downplay |
myriad |
reconciliation |
ensue |
distortion |
assert |
besiege |
take * into account |
rational |
backfire |
inspire |
verdict |
trick A into doing |
terminal |
tap |
assign |
unparalleled |
in heavy rotation |
term |
confirm |
mandate |
physical |
counterintuitive |
fatality |
legislation |
vulnerable |
principal |
take chance |
feature |
vehicle |
aspect |
tolerance |
account for |
intrigue |
tease |
elusive |
forbid |
resort to |
subtle |
vague |
precision |
dismiss |
forthwith |
compass |
privilege |
shortly |
2) 오답률 높은 문제 왜 틀렸을까? (실력이 없어서? 실수로? 아님 다른 이유? )
★ 어법: (20,21번) 늘 수능에서 물어보는 전형적인 point 물어보는데 매번 평가원
어법에서 오답률 상위에 랭크될까요? 이유는 구조 파악을 안하기에..
* 2-1) 20 번 : ( 위 분포표 참조 ) 오답의 결정적인 것이 (A)에서 였습니다.
(In many countries, amongst younger people,) the habit of reading newspapers
has been on the decline and some of the dollars previously (A) [ spent / were spent] on newspaper advertising have migrated to the Internet.
☞ 동사가 필요한지 아닌지를 묻는 문제 : 너무나도 많이 풀어본 유형인데 S. V 표시하면서 확인하면 절대 "were spent" 는 틀린 것을 알았을 텐데.. 표시하고도 혹 몰랐다면
그건 정말 문제겠죠?,.. ( 강의하면서 늘 강조하는 것 이지만 주어 동사 표시하면서
구조파악하면 수능영어 어법에선 70% 이상 맞음) - 습관의 문제일겁니다.
표시하는 것이 귀찮고 눈으로 스르륵.. 해석이 필요 없는데 해석해 가면서..
* 2-2) 21 번 : ( 의외로 작년 수능 21번 어법문제의 point를 재 출제 )
~ a stage, (on) which appear actors. (관계대명사 절 뒤 문장의 도치 )
* 작년 수능: ~ of engineers, on which ① was placed possible technical solutions ~~.
* 실제로 이 point는 10년 3월, 11년 3월 고3 교육청 모의고사에서 등장.
* 기출의 중요성 과 구조 파악의 필요성을 계속 알려주는 두 어법 문제..
☞ 대책: 내년 B형에선 어법문제가 한 문항으로 줄어 들것이고 대신 배점은 3점.
하나 틀리면 -3점.. 출제패턴은 달라지진 않을 것이기에 어떻게 어법 학습을 해야하는지 아시겠죠? (고1부터 습관화.. 뭘? 구조 파악 .. 쓸데없는 문법 용어 암기 하지 마시고.. 내신 어법문제 풀이에도 꽤 도움이 될 것임)
-> 어법문제는 이렇게 : 밑줄 그어진 문장 처음부터 마침표 까지
주어 동사 , 수식 하는 부분 표시해가면서 묻고자 하는 밑줄 부분까지 좁혀 들어가면
답은 자동적으로 보이게 되고, 답을 결정짓는 문장 속 근거 찾으면서..
그럼 정답은 쉽게.. (어법 문제는 검산 필요
* 2-3) 빈칸 26, 27 번
★ 지문에서 말하고자 하는 소재, 주제의 정확한 파악이 필수
첫 문장부터 그런 의식없이 그냥 쭈욱 읽어내려가면서 해석 ( 수능현장에서 짧은
2분도 안 되는 시간 안에) 해 가면 답이 스르륵 그냥 보여주면 그건 쉬운 난이도
인거죠. 명색이 26,27번 문제인데... 출제자들이 작년의 물 수능도 아니고..
☞ 26번: 비교대조와 원인결과(문제점) pattern의 복합형태
*첫 문장에서 주제 암시 (첫 문장의 중요성 )
★ 독해 부분에서 “only" 의 결정적 역할 - 이런 거 공부하는 것이 고급독해임..
★ eye (visual system)과 camera의 공통, 차이점에서 공통점이 차이점을
파악하지 못하게 하는 문제를 빈칸으로..
☞ 27번: 수능에서 단골 주제(소재)로 나오는 것을 출제 (선천적-후천적의 관계)
부분적으로 유사한 주제의 지문이 EBS 수능완성 실전 6회에서 다룸
(language- genetic programmed activity)
- 39번 제목 문제 (EBS 독해연습 2)또한 선천-후천의 틀을 가지고
success에 대한 글 -
★ culture, habit 을 후천적 인자(agent) : language, gene (선천적 agent)
2 소재 중 주인공으로 비중을 둔 것은 “culture“
★ 초반~ 7째줄 까지의 전개 패턴은 참 좋은 방식의 글임..이런 패턴은
잘 익혀두면 내용이 설혹 어렵다 할지라도 지문의 의미 파악하는데
꽤 도움이 될 것임.
★ 선택지의 화려함 (평가원에서만 보여주는).. 전형적 수능 형태
오답 ①, ② 은 소재 면에서 보면 정답 ③ 과 반대..
배경지식으로 생각하면 오답 ①, ②이 학생들에게는 친숙하죠.
지문에서 정확히 의미 파악을 못하게 되면 내가 아는, 친숙한 쪽으로
답을 선택하게 되죠.. 결국은 소재 주제의 정확한 파악이 미흡한 것이
문제.. 이 부분이 늘 수능, 평가원 시험에서 (빈칸유형) 출제자들이
선택지를 만드는 기준이 되는거죠..
★ 수능 평가원 기출의 중요성을 확실하게 보여줌.
♣ 긴박한 수능 현장에서 이런 문제들의 정답을 고르려면 어찌해야 되나요?
- 지문의 구조적 분석 습관화 ( 물론 어휘는 당연 기본이죠)
a) 틀 먼저: 소재, 주제 파악의 생활화- 자나 깨나.. 전개구조 pattern 파악의 생활화- 눈으로 스르륵 보단 손으로..
b) 이것 저것 다 끌고 가다간 오답을 선택하게 됨을 명심- 주인공만, 틀만 잡는다.
주인공 ? : 소재, 주제만 찾으려는 데 집중.. (평소 훈련이 필요, 마음가짐과
함께- 추상적인 얘기가 아닙니다..정말 중요한 것입니다)
( 수능 독해 문제는 통역, 번역을 요하는 것이 아닙니다. )
c) 지문의 핵심은 간단하다. 약간의 복잡한 포장으로 되있을뿐이다. 일부러 심각하게 고민할 필요없다. 단순명료하게 보는 눈을 기르자. how? 소재 주제 파악. 전개 구조 파악 !! - 지문에서 " 뭘 얘기하는거지? " 라고 자문자답( 생각 )하면서 글을 읽는 연습과 실천...- 이번 수능에서 만점자들의 공통점 입니다..
|